▶부동산 매입시 유동인구, 상권 매출, 업소 등록 수량으로 그지역의 분위기및 어떤 업종들이 많은 지역이지 확인가
■ 국토부 실거래(https://rt.molit.go.kr/)
->연식/평수/대지지분/주구조가 비슷한 물건을 찾아 평단가로 정리 ->같은블럭 안에서 비슷한 물건 찾아보기 ※주의사항 ->대형평형 평단가보다 소형평형 단가가 높을수 있다. ->면적 이외의 요소에도 다를수 있다. ->세대수, 주구조등...연와조(빨간벽돌집), 조적조, 철근콘크리트 형태의 빌라 ->조작된 거래인지 의심(업거래, 다운거래, 자전거래..) ->재개발 재건축 이슈가 있는지 용도 비교
■ 안심전세앱 활용법
->안신전세 앱은 그동안 시세 파악이 어려웠던 연립주택등의 시세 정보를 제공해 전세사기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출시
■ 보유세 : 부동산을 보유할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일컫는다. ▶ 과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 등기부산 명의자에 부과하고 있다. ▶ 6월1일에 등기등록 시 세금 징수되고, 5월 말에 등기등록 시 세금 미부과(내년에 6월1일 기준 등기상 있으면 조세 대상)
■ 양도소득세 : 부동산을 매도(양도)할때 그차익(이익)에 대한 부과하는 세금. ▶ 차익이 없이 손해를 보았다면 미부과 대상.
※양도소득세란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등과 파생상품의 양도 또는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양도소득세는 과세대상 부동산 등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보유기간 동안 발생된 이익(소득)에 대하여 일시에 양도시점에 과세하게 됩니다 따라서 부동산 등의 양도로 인하여 소득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손해를 본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① 노후도 : 건물의 노후를 상 · 중 · 하로 표기 ② 계량기 : 가스, 전기, 수도 계랸기를 찾아 사용량 기록(사용중일때는 임차인 거주로 생각) ③ 우편물 : 현재 누구 앞으로 무편물이 오고 있는지 체크(거주인 확인및 정리상태로 거주중인지 파단) ④ 채광·방향 : 채광이 좋은지 여부와 집 방향(남향, 북향 및 빌라는 옆건물로 창문이 막혀있는지 확인)_조망권 ⑤ 주차장 : 주차장 여부와 세대당 몇 대 주차가 가능한지. 주변 주차시설(공용주차장등) 여부도 확인 ⑥ 방수/누수 : 외벽 및 옥상에 올라가 균열(크랙)이 있는지 여부확인(빌라등 탑층은 방수공사가 안되어 있으면 누수발생) ⑦ 미납관리비 : 아파트는 관리실, 빌라는 총무가누구인지 확인(아파트 관리비 공용비는 낙찰자가 납부해야함.) ⑧ 전입세대열람 : 행당 동사무소에 경매정보지 제출하면 열람가능(누가 사는지, 전입신고 날짜는 어떻게되는지 확인) ⑨ 현 거주자 : 소유자가 사는지, 세입자가 사는지 확인.
※주변조사
① 대중교통 : 버스노선 및 배차시간 확인과 지하철 가까운역, 지하철역까지 버스 소요시간 확인 ② 마트/백화점 : 가까운 마트나 백화점이 있는지 여부와 소요시간 확인 ③ 유치원 · 초 · 중 · 고 : 주변에 학교 시설여부와 도보 및 버스소요시간 체크 ④ 기타 주변 호재 소식이 있으면 작성